클라리넷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라리넷 통 (클라리넷 배럴 barrel) 요 작은 것이... (사진출처 http://www.pspriggs.com/barrels.jpeg) 클라리넷에서 통 barrel은 왜 이 부분이 독립해서 남게 되었는지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부분이다. 1700년대 클라리넷 초기 악기들을 살펴보면 통이 따로 있지 않고, 주로 나팔꼭지 mouthpiece 에 붙어 하나로 되어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제작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조율을 임의대로 하기 위해 독립된 부분이 되었다는 것이 다수설이다. 하지만 통을 이용해서 하는 조율은 완벽하지가 않다. 클라리넷을 낮게 조율하기 위해, 길이가 긴 통을 사용하거나 통을 약간 빼서 표준율 (내림나 클라리넷으로는 나)를 440Hz에 맞춘다해도, 그에 따라 throat 음역으로 알려져 있는 사4 – 내림나4(클라리넷 기.. 더보기 Die Klarinette-Eine Kulturgeschichte, Kurt Birsak Birsak, Kurt. 1992. Die Klarinette-Eine Kulturgeschichte (3te Auflage): Druck und Verlag Obermeyer 이 책은 나에게는 추억이 있는 책이다. 독일로 유학와서 쾰른으로 대학을 옮기고 새롭게 전공공부를 시작할 즈음, 겨우 독어에 익숙해 지면서 차차 어학이나 전공서적 이외의 책들에도 관심을 갖게 되어 어느날 우연히 자주 갔었던 쾰른대성당 근처의 서점에서 발견했던 책이다. 유학생활 시작후 어학만 하느라 손 댈 엄두도 못냈던 클라리넷에 대한 관심을 다시 일깨워 준 책이고, 클라리넷 관련 책 중에 처음으로 샀던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을 통해 클라리넷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클라리넷 연구가들이 있고, 그들이 쓴 관련서적들이 제법 있슴을 알게 되.. 더보기 The Clarinet and Clarinet Playing, David Pino Pino, David. 1980. The Clarinet and Clarinet Playing (Dover edtion 1998). New York, USA: Dover Publications 데이빗 피노의 이 책은 클라리넷을 배우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지침서 측면을 강조한 책이다. 클라리넷 교사들에겐 어떤 내용을 학생에게 가르쳐야 하는지, 클라리넷을 배우는 학생들에겐 어떤 내용을 배워야 하고 또 어떻게 연습해야 하는지 잘 설명해주는 책이다. 지은이 피노는 책 서문에서 이 블로그 테두리에서도 소개한 케이스 스타인의 책 The Art of Clarinet Playing 에서 영감을 받아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비교적 근래에 쓰여진 이 책에서 피노는 스타인 보다 더욱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 더보기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Clarinet, Colin Lawson Lawson, Colin (편집인). 1995.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Clarinet.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앞서 소개한 독어책 Faszination Klarinette 의 영어판이라고 보면 된다. 마찬가지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 장씩 맡아 기술하는 방식으로 된 클라리넷 개론서이다. 클라리넷 구조학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이 아쉽긴 하지만 그 외의 분야에 대해선 각 전문가들의 상세한 저술이 돋보인다. 이 책은 정보전달이 목적인 철저한 서술방식이므로 자료찾기용으로 가치가 높다. 한 가지 단점은 내용에 비해 시각자료들이 적고 인쇄질이 나쁘다는 것이다 (필자가 페이퍼백을 갖고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아래 목차를 보면.. 더보기 그로브 음악사전과 엠게게 음악사전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우리가 아무리 특정한 주제를 연구한다고 해도 그 관련지식에 대해선 일반백과사전을 찾을때가 많다. 특히 역사, 철학, 지리, 문화 등 여러가지 배경지식이 중요한 인문학 주제들을 연구할때는 더 그러하다. 음악학 연구를 하는 이들이 어떤 주제를 연구하던 간에 꼭 찾아보는 자료가 있다면, 영어 그로브 음악사전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과 독일어 엠게게 음악사전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MGG) 이 그것이다. 두 사전 모두 음악에 관한 가능한 모든 것을 담으려 노력한 방대한 음악백과사전으로 음악학에 있어서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도 같은 권위를 가지고 있다. 그로브 음악사전이 알파벳순으로 엮은 사전인데 비해 엠.. 더보기 Tipbook Clarinet, Hugo Pinksterboer Pinksterboer, Hugo. 2001. Tipbook Clarinet. Nieuwegein, Netherlands: The Tipbook Company 팁 북 Tip book. 실용적인 쓰임을 위한 팁들을 모아놓은 책. 이 책은 앞서 소개한 클라리넷 개론서나 연주법 지침서도 아니고, 그렇다고 교본도 아니다. 철저히 악기로써의 클라리넷에 관한 제원을 중심으로 엮은 책으로, 가전제품을 사면 딸려있는 제품설명서와도 같다. 간단명료한 설명, 다양한 그림, 쉽게 쓰여진 영어를 장점으로하는 이 책은 주머니 크기로 140쪽도 채 안되는 얇은 책이지만, 내용은 결코 얇지않다. 클라리넷을 배우다 보면 기계적인 사항들에 대해 궁금해질 때가 많은데, 주변에 알고 있는 사람이 없을때 필요한 답을 주는 책이다. 예를 들.. 더보기 The Art of Clarinet Playing, Keith Stein Stein, Keith. 1958. The Art of Clarinet Playing. New Jersey: Summy-Birchard Inc. 시카고 교향악단 클라주자이자 미시간 주립대학 관악기 교수로 활동했던 케이스 스타인이 1958년 출판한 책이다. 제목이 말해주듯이 이 책은 클라리넷을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가에 대한 지침서이다. 랑게누스, 클로제나 베어만 교본이 악보를 통해 직접 연습해가며 클라리넷 연주법을 익히는 ‚교본 Clarinet methods’ 이라면, 이 책은 클라리넷 연주에 필요한 여러가지 기초요소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이다. 클라리넷 수업시간에 교사가 학생에게 말과 시범을 통해 가르치는 내용을 글의 형태로 남긴 것이다. 악기연주는 외국어나 운동과 같아서 글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아.. 더보기 Faszination Klarinette, Conny Restle & Heike Fricke (편집) Restle, Conny & Fricke, Heike (Hrsg.). 2004. Faszination Klarinette. München: Prestel Verlag 이 책은 Faszination Klarinette 란 같은 제목아래 2004년 10월 베를린 SIMPK (Staaliches Institut für Musikforschung Preußischer Kulturbesitz) 악기박물관에서 열렸던 시대별 클라리넷 전시회 기념으로 출판된 책이다. 주로 독일에서 활동하는 저자들을 중심으로 각 방면의 클라리넷 전문가들이 한 주제씩 맡아 기술한 방식이다. 저자별로 내용이 짧은 것이 아쉽기도 하지만, 모두들 흥미있는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의 자랑거리는 무엇보다 전시회를 위해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 더보기 Clarinet, Jack Brymer Brymer, Jack. 1990 (재판). Clarinet. London: Kahn & Averill 우리에겐 영화에 삽입된 모짜르트 협주곡의 연주자로 유명한 잭 브라이머가 지은 책. 1970년대 출판된 예후디 메뉴힌 음악총서 Yehudi Menuhin Music Guides 시리즈 중 한 권이다. 초판은 1976년 영국 Macdonald & Co 출판사에서 나왔다. 옥스포드와 캠브리지를 중심으로 클라리넷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전통이 있는 영국출신답게 브라이머는 이 책에서 참으로 방대한 접근을 하고 있다. 목차에서도 볼 수 있듯이 클라리넷의 역사, 음향학, 악기구조, 예술적 접근, 교육 등 클라리넷 전반에 대한 놀라운 통찰력을 보여준다. 브라이머는 논란이 많은 쟁점인 비브라토나 국가별 차이 등의 주제에.. 더보기 독일식 클라리넷과 프랑스식 클라리넷의 차이점 2: 악기구조와 소리 욀러식 클라리넷은 무엇이 다른가? 앞서 말했듯이, 현재 독어권 - 독일,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근접지역 - 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인 욀러식은 베어만-오텐슈타이너식 클라리넷을 개선한 방식이다. 오스카 욀러는 당대 독일의 클라리넷 제작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모델에 구멍을 몇 개 더 첨가해서 음정교정과 음질개선, 무엇보다 소리가 나쁜 나와 바을 개선시켰다. 때문에 욀러식은 뵘식보다 마개가 더 많다. 중요한 개량으론 올림다, 낮은 마-바 교정, 바 /나 공명마개와 내림나 교정마개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모두 특허를 가지고 있다. 마개방식 마개방식에 있어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뵘식은 아랫관의 마개를 오른손 검지나 중지로 눌렀을때 윗관의 마개도 같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욀러식은 그렇지 않다. 윗관과 아랫관..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